티스토리 뷰
LH 임대주택 계약시엔
임대료를 납부하게 되는데요
LH 임대주택으로 월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
월 임대료를 더욱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.
바로 월 임대료 절약하는 방법인 '전환보증금' 입니다!
전환보증금이란
LH임대주택 입주 시 부담이 낮은 방식을
입주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고마운 제도 입니다.
입주자가 매달 납부해야하는 월세는 당연히 부담스러운데요.
이때 임대료를 보증금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보증금을 높이게 되면 월마다 지출되는 월 부담 임대료가 낮아지고
그와 반대로 현재 보증금이 부담스러운 경우 월 임대료로 대체하여
지불할 수 있는 것입니다.
전환 보증금 계산 방법
전환보증금의 납입액에 따라
월세가 어떻게 변하는지
지금 보증금에 얼마를 더하면
월 임대료가 얼마가 줄어드는지 알 수 있는
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전환보증금 증가에 따라 낮아지는
즉, 절약되는 임대료 계산 방법은
추가보증금 X 전환이율/12개월 입니다.
만약 전환이율이 6%라고 가정한다면
보증금을 1,000만 원 더 추가 납입하게 되면
1,000만원 X 6% / 12개월 = 50,000원이 되기 때문에
월 5만원의 임대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행정중심복합도시
4-2M2 블록 행복주택을 예로 들어보면
행정중심복합도시 4-2M2블록 행복주택은
기본 보증금 19,720,000원 기준으로
월 임대료 80,520원 입니다.
이때 전환가능 보증금을 4,000,000원 추가해
최대로 전환하게 된다면
총 보증금은 23,720,000원 (19,720,000원+4,000,000원)으로
월 임대료가 기존 80,520원에서 20,000원 줄어들어
60,520원이 도비니다.
만약 LH임대주택 입주 시
목돈이 부족하여 전환 가능 보증금을
15,000,000 낮춰 최저로 전환할 경우
총 보증금 4,720,000원으로 월 임대료는 37,500원이 증가하여
118,020원이 됩니다.
지금까지 LH임대주택 월 임대료 월세 줄이는 방법
임대료를 절약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목돈이 있을 경우엔 아무래도 전환보증금을 이용하여
월 임대료를 낮춰, 월마다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는게
조금더 알뜰하게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.